

호주

뉴질랜드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필리핀

베트남
기본정보
호주(Commonwealth of Australia(Australia))
■수 도 : 캔버라(Canberra) (원주민어로 "만남의 장소"라는 뜻)
■사용언어 : 영어
■화폐단위 : Australian Dolar
■시차
동부지역(시드니, 브리즈번, 캔버라, 멜번) + 1시간
서부지역(퍼스) - 2
* 섬머타임이 적용되는 경우, 기준시간에서 +1시간 차이발생 (섬머타임 적용기간: 매년 10월 첫 일요일~후년도 4월첫 일요일까지 / 섬머타임 제외지역: NT주, QLD주, WA주)
■면적 : 7,686, 850km² (대한민국의 약 78배)
■인종 : 백인 약 95%, 원주민 약 2%, 아시아 약 1.3%, 기타 약 1.5%
■종교 : 국교가 없으며 주요 종교는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와 로마 카톨릭
긴급연락처
[공관 근무시간 외 사건사고 핫라인(24시간)]
영사콜센터(사건사고 핫라인, 24시간) : +(82) 2-3210-0404 / 영사콜센터 무료번호 : +800-2100-0404
[주호주대한민국대사관] 113 Empire Circuit Yarralumla ACT 2600, Austraila
대표번호 (61) 2-6270-4100 / 긴급연락처(24시간) (61) 408-815-922
[주시드니대한민국총영사관] Level 10, 44 Market Street Sydney NSW 2000
대표번호 (61) 2-9210-0200 / 긴급연락처(24시간) (61) 403-546-058
[주멜번분관] Level 10, 636 St Kilda Rd, Melbourne VIC 3004, Australia
대표번호 (61) 3-9533-3800 / 긴급연락처(24시간) (61) 418-435-915
※응급조치 필요 시 '000' 긴급종합연락전화로 경찰(Police), 소방(Fire), 구급차량(Ambulance) 지원요청이 가능합니다.
- 경찰도움이 필요할 때:131444
- 언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 131-450 (전화통역서비스) 에 먼저 전화하여 경찰이나 병원 지원을 요청하시기 바라며, 경찰서 방문시 경찰서에서 제공하는 통역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전화고장시 : 전화 1100
교통
대중 교통
광대한 지역의 호주는 도시마다 각기 다른 교통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호주의 대중교통은 버스, 기차, 페리, 트램, 택시라고 할 수 있으며 주요도시별 대중교통시스템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드니 : 보편적인 대중교통 수단은 버스와 페리, 전철(city rail, airport link), 크루즈, 익스플로러 버스 등으로 시드니 패스를 구입하면 위의 모든 시내교통수단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기간과 거리별로 다양한 티켓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대중교통 안내 사이트
- 버스 : www.sydneybuses.nsw.gov.au
- 전철 : www.cityrail.info
- 택시 : www.abctaxis.com.au
■멜번 :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버스, 트램(Tram), 전철로 어느 대중교통을 이용하던 miki라는 통합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이용하실 수 있으며 도심지내 Free Tram Zone 구간은 무료로 트램(Tram)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 안내사이트 : www.ptv.vic.gov.au
- 택시 : www.silvertop.com.au
■브리즈번 :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버스, 페리, 전철로 하나의 티켓으로 세가지 교통수단을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티켓의 종류는 1회권, Daily, Weekly, 10 Saver 등이 있습니다. 무료 운행버스로 시티센터 지역만 운행하는 더루프(The Loop) 버스가 있습니다.
- 버스 : www.translink.com.au
- 전철 : www.citytrain.com.au
- 택시 : www.yellowcabgroup.com.au Yellow Cab 13-1924
■퍼스 : 주요 대중교통은 트랜스퍼스(Transperth)라는 통합시스템에 의해 운영되어 버스, 기차, 페리를 하나의 티켓 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금은 퍼스 시내를 중심으로 8개 구간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요금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티켓은 구간별 티켓과 하루이용권, 가족이용권 등의 티켓이 있습니다. 또한 퍼스에는 도시를 동서와 남북으로 가로질러 운행되는 3개 노선의 무료버스 CAT(Central Area Transit)이 있습니다.
* 대중교통 안내 사이트 : www.transperth.wa.gov.au
- 택시 : www.blackandwhitecabs.com.au, Black and White 133-222
■애들레이드 : 주요 대중교통으로 유료의 애들레이드 메트로 시스템(버스, 기차, 트램을 메트로 티켓 하나로 이용) 과 Bee Line(No. 99B)과 City Loop(No. 99C) 등 두 가지의 무료버스가 있습니다. 메트로 티켓은 Single Trip, Day Trip, Multi Trip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택시는 전화로 콜택시를 불러서 이용해야 합니다.
* 대중교통 안내사이트 : www.adelaidemetro.com.au
- 택시 : www.aitaxis.com.au Suburban Taxi 13-1008
■캔버라 : 대중교통 수단은 Action 버스이며 가까운 편의점에서 Transport Canberra(TC)카드를 구매해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19.04.20.(토) 이후로는 캔버라 북부지역에서 경전철(Light Rail) 운행 예정이며, 버스 카드와 연계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 안내사이트
- 버스 : www.action.act.gov.au
- 경전철 : https://www.transport.act.gov.au
- 장거리 버스 및 철도
- 장거리 버스 : Murray’s Coaches(www.murrays.com.au), Grey Hound Australia(www.greyhound.com.au)
- 장거리 철도 : www.countrylink.info, www.trainway.com.au, www.qr.com.au, www.railaustralia.com
항공
- 콴타스 항공 www.quantas.com.au
- 버진블루 www.virginblue.com.au
- 젯스타 www.jetstar.com.au
- 대한항공 www.koreanair.co.kr
- 아시아나 www.flyasiana.com
운전 시 유의사항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벌점 3점 및 호주불 약 $400 벌금 부과
■전 좌석 안전띠 착용 필수: 4인승 차량 기준 전 좌석 미착용 적발시 3점 벌점 및 호주불 약$1,422상당 벌금 부과
■창밖으로 신체부위 뻗는 것도 불법: 운전자는 특수한 경우에 수신호를 위해 창밖으로 손을 내밀어서 신호를 보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창밖으로 신체부위를 뻗는 경우에 벌점 3점과 호주불 약 $325의 벌금이 부과됨
■임대차량(렌트카) 이용시 유의사항: 차량 임차 약관에 운전금지구역이 명시되어 있음. 주로 퀸즐랜드, 호주북부준주, 서부호주 일부지역 해당. 해당 구역에서 운전하던 도중 차량에 문제가 생길 경우 Full Cover 보험을 들었어도 약관을 어긴 것으로 간주되어 수리비를 보상해야 함
■거리 주차 표지판:
- 특정시간에 특정 구역에 주차할 수 있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음
- P앞의 숫자는 주차 허용 시간이며 1/2는 30분을 의미
- 화살표 범위 내에만 주차가 허용됨.
■로드킬(Road Kill): 외곽지역에서 운전하는 경우에는 야간에 캥거루 등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경우도 있음.
■선불 주차시 유의사항:
- 대부분의 공용주차장과 거리주차는 선불주차임
- 이 경우 주차표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차량 앞쪽 대시보드에다가 두어야 함
- 외부에서 주차표를 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대시보드가 아닌 곳에 놓을 경우 벌금 부과
■Give Way 표지판: 좌, 우, 전방 모두에 진입을 양보해야 함.
날씨
날씨
■천혜의 자연 환경과 온난한 기후
* 호주는 국토가 넓기 때문에 열대기후부터 온대기후까지 지역에따라 기후 차이가 나지만 시드니, 캔버라, 멜번, 브리즈번, 퍼스, 애들레이드 등 대부분의 대도시 기후는 생활하기 적합한 기후입니다. 하지만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대륙으로 대륙 중앙부는 사막지대입니다.
* 여름은 기온이 높아도 다윈 등 노던테러토리 지역외에는 습도가 낮기 때문에 지낼만 하며, 자외선이 매우 강하여 선글래스, 선텐로션(Sun block)과 모자는 필수입니다.
* 겨울은 대부분의 지역이 낮동안에는 영상의 기온으로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으며 산간지역이나 캔버라와 같은 고지대 도시는 일교차가 심해 상대적으로 추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시드니를 비롯한 NSW지역은 생활하기 적합한 기후입니다. 다만 일 교차가 심하고 하루중에 기상 변화가 심하여 ‘하루에 사계절이 다있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여름은 기온이 높아도 대체적으로 습도가 낮아서 지내기 좋으나 최근 습도가 높으며 기온이 올라가는 경우도 간혹 있고 열풍이 불면 매우 건조하고 더운 날씨가 되기도 합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문화
■ 호주인들은 약한 편을 돕는 메이트쉽(mateship)이 강하다고 합니다. 호주인들은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법적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차별 금지법은 어느 누구라도 인종, 성별, 결혼 여부, 종교, 신체적 결함 때문에 차별받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 일상적으로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도 지나가며 Good Day Mate! 하거나 눈인사 정도는 합니다.
* 호주인들은 전반적으로 친절한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낙천적인 사고와 여행을 즐기고 여유를 갖고 생활하는 자세를 갖고 있습니다.
* 호주는 비교적 직업에 귀천을 두지 않는 평등한 사회로 자신과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인정하고 존중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부모의 직업이나 사회적 신분에 관한 질문은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교관련
■ 종 교 : 기독교 52.1%(영국성공회 13.3%, 천주교 22.6%, 기타 16.3%), 무종교 30.1%, 기타 8.2%(이슬람교 2.6% 불교 2.4% 힌두교 1.9%, 시크교 0.5%, 유대교 0.4%, 기타0.4%)
(출처 : 통계청)
팁 문화
■ 미국과는 달리 호주에서는 팁이 생활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호텔이나 식당 등에서 아주 만족할 만한 음식과 서비스를 받았을 때는 간혹 식당 종업원에게 약간의 팁을 주어 고마움을 표시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일반적 관행은 없으나, 호텔의 경우 AU $2-3, 레스토랑도 대부분 음식값의 3% 정도면 무난하다고 합니다.
기타
■전력사용 현황
* TV 및 Video 방식 : PAL 시스템
* 전기시스템 : 240V/50Hz이며 플러그 모양이 독특(삼각형)
* 호주의 TV 및 Video는 PAL 방식으로 국산제품(NTSC식의 경우)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기본정보
뉴질랜드(New Zealand)
■ 수도 : 웰링턴
■ 면적 : 27만㎢ (북섬 11.6만㎢, 남섬 15.1만㎢, 기타 도서 3,542㎢) - 한반도 면적의 1.2배, 남한 면적의 2.7배
■ 언어 : 영어, 마오리어
■ 인종 : 유럽인(74%), 마오리 원주민(15%), 아시아계(12%), 남태평양인(7%) 등
■ 종교 : 성공회, 기독교, 가톨릭
■ 한국과의 시차 : +3시간 (+4시간, 서머타임)
대사관 연락처
주소 : 11th Floor Harbour Tower, 2 Hunter Street, Wellington 6011 New Zealand
이메일 : info-nz@mofa.go.kr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64) 4-473-9073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64) 21-0269-3271
오클랜드 분관 연락처
주소 : Level 12, Tower1, 205 Queen Street, Auckland Central, New Zealand
이메일 : auckland@mofa.go.kr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64) 9-379-0818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64) 27-646-0404
주재국 신고
■ 경찰, 소방, 구급차 : 111
■ 각 지역 경찰서 연락처
웰링턴 : +64-4-381-2000
오클랜드 : +64-9-302-6400
크라이스트처치 : +64-3-363-7400
넬슨 : +64-3-546-3840
더니든 : +64-3-471-4800
퀸스타운 : +64-3-441-1600
팔머스톤노스 : +64-6-351-3600
■ 주요공항 물품 분실 시 연락처
*오클랜드공항
월~금 : 08:00~16:30
전화 : 0800 247 7678
이메일 : lostproperty@aucklandairport.co.nz
*웰링턴 공항
월~금: 09:00~16:00
전화 : +64-4-385-5100 또는 이용 항공사
이메일 : Mail@wellingtonairport.co.nz
*크라이스트 처치공항
월~금 : 08:30∼16:30
전화 : +64-3-353-7749 또는 이용 항공사
이메일 : Mail@wellingtonairport.co.nz
*퀸즈타운 공항
월~금 : 08:30∼17:00
전화 : +64-3-450-9031 또는 이용 항공사
이메일 : infodest@queenstownairport.co.nz
의료기관 연락처
■ 웰링턴
* After hours medical centre :
Wellington Hospital +64-4-385-5999
lower hutt: +64-4-567-5345
* 24시간 응급실(AMC) : +64-4-3844944
■ 크라이스트처치 Christchurch Hospital : +64-3- 364-0640
■ 넬슨 Nelson Hospital : +64-3-546-1800
■ 더니든 Mercy Hospital : +64-3-464-0107
■ 오클랜드
시티병원: +64-9-307-2800
스타십 어린이병원 : +64-9-307-8900
응급병원(Ascot 24 Hours) : +64-9-520-9555 (옵션 0번을 선택)
* 뉴질랜드 현지에서 로밍폰이 아닌 현지 전화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국가번호 64를 제외하고 사용하세요.
예) 대사관으로 전화할 때 :
로밍폰 :+64-4-473-9073
현지 전화 : 04-473-9073
교통
[대중교통]
■ 각 지역의 버스 정보 : www.nzbus.co.nz (구간에 따른 변동요금제 적용)
■ 모든 기차와 도시철도 정보 : http://trains wellington.net.nz
- 도시철도는 현재 Wellington과 Auckland에만 있습니다.
■ 국내선 항공
- 에어뉴질랜드 www.airnewzealand.co.nz
- 젯스타 www.jetstar.com/nz
운전 시 유의사항
■ 운전을 하던 도중, 경찰차가 뒤따라오며 빨갛고 파란 경광등을 켜고 사이렌을 울릴 경우, 안전한 갓길을 찾은 뒤 가급적 빨리 차를 세우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경찰관이 다가 올 때까지 차 안에서 기다리시길 바라며, 이후 경찰관의 지시에 잘 따라주시길 바랍니다.
■ 비포장 도로는 미끄러워 주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항상 좌측으로 통행하고 속도를 줄이십시오. 반대편에서 차량이 다가올 경우에는 먼지로 시야가 가리고 돌 파편이 창 유리에 튈 수 있기 때문에 더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 뉴질랜드 남섬의 경우 산악지역으로써 겨울철 강설량이 많고 도로사정이 좋지 않으므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니 체인 등 장비 장착 필요합니다. 출발에 앞서 www.metservice.com에서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www.nzta.govt.nz/traffic에서 도로 상태를 먼저 확인한 후에 운전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렌트카를 이용하실 경우, 대다수의 렌트카 업체에서는 일정 추가비용을 받고 스노우 체인을 대여 할 수 있습니다.
날씨
날씨
■ 해양성 기후(1월 평균 : 20℃, 7월 평균 : 11℃)
■ 급작스러운 기후 변화
- 남쪽으로 내려올수록 춥고, 북섬 중앙지역도 고산 지형과 거대한 호수가 있어 온도가 낮습니다. 6월부터 9월 간은 우기입니다. 뉴질랜드는 바람이 강하여 우기에는 우산보다는 모자가 달리 방수 옷을 착용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기타
[전자여행허가(ETA:Electronic Travel Authority) 발급 및 환경보존기금납부]
ㅇ 뉴질랜드 정부는 항공기 탑승전 심사 강화를 통해 공항 입국장내 대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ETA를 도입하기로 하였으며, 자연환경 보존에 필요한 재원마련을 위해 NZ$35의 환경보존기금(International Visitor Conservation and Tourism Levy)을 징수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ㅇ 이에 따라 2019.10.1부터 뉴질랜드에 일시 방문(경유 포함), 관광 목적으로 입국하시는 분들께서는 뉴질랜드 입국전 반드시 ETA(Electronic Travel Authority)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ETA를 미리 발급받지 않을 경우, 뉴질랜드행 비행기 탑승이 거부됩니다.
ㅇ ETA 신청 방법 : ETA는 2019년 7월부터 스마트폰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ETA 승인까지는 최대 72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여유 시간을 가지고 사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 스마트폰 앱을 통합 신청시 : ETA NZ$9와 IVL NZ$35, 총 NZ$44 부과
- 홈페이지를 통한 신청시 : ETA NZ$12와 IVL NZ$35, 총 NZ$47 부과
ㅇ ETA와 IVL은 2년간 유효하므로, 한 번 발급받으면 2년 동안은 뉴질랜드에 재입국하더라도 ETA와 IVL의 비용이 면제됩니다.
[기타]
ㅇ 뉴질랜드는 입국 절차 및 검역이 까다로워 입국이 거부되거나 음식물 등을 압수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니 사전에 입국 절차 및 검역 규정에 대해 숙지하셔야 합니다.(http://www.immigration.govt.nz, http://www.customs.govt.nz)
인사법
ㅇ 사업 관계가 있을 때는 명함을 교환하지만 대개는 명함 교환 없이 가볍게 수인사를 나누며, 친한 관계에서는 가벼운 포옹을 나누기도 합니다.
ㅇ 마오리족 전통의식 참석 시에는 서로 코를 비비는(Hongi, 홍이) 인사를 하기도 합니다.
종교문화
ㅇ 별도의 국교는 없으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으며, 많은 국민들이 기독교인(성공회, 가톨릭, 개신교)입니다.
팁 문화
ㅇ 뉴질랜드에서는 팁이 일반화되어있지는 않지만 고급 호텔이나 고급 식당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약간의 팁을 건네기도 합니다.
- 일부 고급 식당에서는 신용카드 등으로 계산 시 계산에 팁을 포함하겠냐고 묻지만, 의무는 아닙니다.
기본정보
스페인(Spain)
■ 수도 : 마드리드 (북위 40.26°, 서경 3.42°)
■ 면적 : 505,990㎢ (한반도의 약 2.3배)
■ 인구 : 4,673만명(2018)
■ 민족 : 스페인인(86%), 모로코인(2%), 루마니아인(1%) 등
■ 종교 : 가톨릭 (74% 이상)
■ 언어 : 스페인어(카스티야어); 지역별 카탈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
대사관 연락처
■ 주스페인대사관
- 주소 : Calle González Amigó 15, 28033 Madrid, Spain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4) 91-353-2000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4) 648-924-695
- 이메일 : embspain.adm@mofa.go.kr
■ 주바르셀로나총영사관 (관할 지역 : 카탈루냐주, 발렌시아주, 발레아레스 제도)
- 주소 : Paseo de Gracia 103 3층, 08008 Barcelona, Spain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4) 93-487-3153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4) 682-862-431
- 이메일 : barcelona@mofa.go.kr
■ 주라스팔마스분관 (관할 지역 : 카나리아 군도 7개 도서)
- 주소 : Calle Luis Doreste Silva 60 1ª P, 35004 Las Palmas de G.C., Spain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4) 928-230-499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4) 629-155-134
- 이메일 : laspalmas@mofa.go.kr
주재국 신고
■ 통합 긴급전화 : 112 (상담원이 발생 사안에 따라 해당 기관으로 연결)
■ 범죄신고 : 국가경찰(091), 민경대(062), 자치경찰(092)
■ 응급의료 : 061
■ 전화번호 안내 : 11888
■ 의료기관 연락처
긴급전화(112)로 신고하여 응급차량을 이용한 병원 운송 및 응급실 진단은 무료이며 투약, 일반 진료, 입원 등의 경우에는 규정된 비용을 지불하여야 합니다.
※ 지역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에는 우선 응급치료 후 1~2개월 뒤 우편, 이메일 등으로 진료비를 청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주요 병원 응급실(Urgencias) 연락처
- 마드리드 : Hospital U. 12 de Octubre – Avda. Cordoba, (+34) 91-390-8179
- 바르셀로나 : Hospital de la Santa Creu I Sant Pau – C/ Sant Quinti 87, (+34) 93-553-7600
- 발렌시아 : Consorci Hospital General Universitari de Valencia – Avda. Tres Cruces 2, (+34) 96-313-1800
- 세비야 : Hospital U. Virgen del Rocio – Avda. Manuel Siurot, (+34) 95-501-2066
- 그라나다 : Hospital U. San Cecilio(PTS) – Avda. de la Investigacion, (+34) 95-884-0660
- 말라가 : Hopital Regional U. Malaga – Avda. Carlos Haya, (+34) 95-129-0000
- 라스팔마스 : Hospital Dr. Negrin 92-844-9393, Hospital Insular Materno-Infantil (+34) 92-844-4321(성인)/4671(아동)
■ 감기약, 피부연고 등 간단한 의약품은 의사의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하지만 그 외의 경우는 처방전이 필요합니다.
■ 약국은 저녁 9시경 문을 닫으나 지역별로 24시간 운영 약국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지도앱 등으로 ‘Farmacia 24 horas’ 검색)
교통
대중교통
■ 지하철
* 마드리드
12개 노선 및 경전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행시간은 6:00~1:30입니다.
기본요금은 1회 1.50~2유로(거리비례)이며 반드시 교통카드를 구입하여야 합니다. 교통카드(10회 충전 12.20유로+카드구입 2.50유로)는 지하철역내 판매기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공항 이용시 3유로의 추가 요금(suplemento aeropuerto)을 충전해야 합니다.
관광객용 교통패스는 8.40(Zona A 1일권)~70.80(Zona T 7일권)유로로 공항터미널 관광안내소 등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노선 정보 : www.metromadrid.es
* 바르셀로나
총 11개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월~목/일요일 05:00~24:00, 금요일 05:00~ 02:00, 토요일에는 24시간 운행하고 있습니다.
1회 이용요금은 2.20유로이며, 10회용 티켓은 10.20유로(ZONA 1)입니다.
노선 정보 : www.tmb.cat
■ 버스
* 마드리드
시내버스(파란색) 및 시외버스(초록색) 두 종류가 운행됩니다.
1회 이용요금은 1.50유로이며, 5유로 지폐까지 현금 지불이 가능합니다. 버스 및 지하철에서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10회 충전 12.20유로+카드구입 2.50유로)는 지하철역내 판매기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노선 정보 : www.emtmadrid.es
* 바르셀로나
시내버스 101개 노선이 운행 중입니다.
1회 이용요금은 2.20유로이며, 10회용 티켓은 10.20유로(ZONA 1)입니다.
노선 정보 : www.tmb.cat
*라스팔마스
버스 1회 이용요금은 1.40유로입니다.
택시의 기본요금은 1.73유로이며 야간 및 휴일에 할증료가 부과됩니다.
※ 시내 이동 시 5유로 이내, 공항에서 라스팔마스 시내까지 요금은 약 30유로
■ 기차
마드리드(아토차역), 바르셀로나(산츠역), 세비야, 말라가, 발렌시아 등 지역 간 고속철도 아베(AVE)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마드리드 차마르틴(Chamartín)역과 바르셀로나 산츠(Sants)역에 국제열차가 출도착합니다.
기차표 예매 및 노선 정보 : www.renfe.es
■ 항공
국적기로는 대한항공이 마드리드 주 3~4회(화,목,토/일), 바르셀로나 주 4회(월,수,금,토), 아시아나가 바르셀로나 주 4회(화,목,토,일) 운항하고 있습니다.
마드리드 바라하스(Barajas) 국제공항은 마드리드 북동쪽 13km 지점에 위치하고 4개의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항공은 1터미널, 스페인 국적기인 이베리아항공은 4터미널에서 출도착합니다.
바르셀로나 엘프랏(El Prat) 공항은 바르셀로나 남서쪽 14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시아나 및 대한항공은 1터미널에서 출도착합니다.
운항 정보 : www.aena.es
■ 자동차 운전
- ‘한-스페인 운전면허증 상호 인정 및 교환 협정(’00.1월 발효)’에 따라 스페인 거주증 및 학생체류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적성검사 후 무시험으로 한국운전면허증을 스페인면허증으로 교환을 받아 운전이 가능합니다.
- 거주증이 없는 여행객의 경우에는 국제운전면허증을 한국에서 사전 발급(발급일로부터 6개월까지만 인정) 받은 후 한국면허증을 함께 소지하여야 운전이 가능합니다.
- 2006년부터 벌점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과속(고속도로 80km 초과, 도심 지역 60km 초과) 및 음주운전에 대하여 형사처벌을 가하고 있습니다.
-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에 대한 절대적인 우선권이 인정되므로 반드시 정차하여야 하며, 앞차의 급정차에 따른 접촉 사고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여러 개 부착되어 있어 혼란이 생길 수 있으나 차량 대기선 옆에 설치된 신호등 및 운전자 눈높이에 설치된 보조 신호등이 운전자가 준수해야 할 주행 방향 신호등입니다.
-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 고장 등으로 고속도로 상에서 비상 정차한 경우에는 반드시 삼각대를 설치하고 노란색 형광 조끼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 기타 유의사항
- 스페인은 대부분의 고속도로와 일반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으며 과속으로 인한 사고 및 과속 단속 카메라에 따른 벌금 부과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행 중 차에 이상이 있다며 도와주는 척 접근하는 사람들은 절도범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거절하고, 따로 차를 세운 뒤 확인이 필요합니다.
날씨
날씨
- 대부분의 지역에서 4계절이 뚜렷하고 동남부 해안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 북서부 해안 지역은 해양성 기후, 내륙고원 지역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카나리아 군도는 아열대성 기후로 연중 온난건조
- 봄·가을 : 8~21℃, 여름 : 25~45℃, 겨울 : 0~12℃ / 카나리아 군도 : 22℃(연평균)
- 강수량 : 300mm 이하(알메리아주, 무르시아주)~800mm 이상(바스크주, 갈리시아주)
- 날씨 정보 : www.aemet.es (기상청)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 문화
ㅇ 스페인 사람들은 초면에도 서로 볼을 2번 맞대고 인사를 나누는 관습이 있으나 악수로 대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ㅇ 어린이에 대한 신체 접촉은 아동성범죄로 오인될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
종교 관련
ㅇ 스페인은 가톨릭 전통의 국가로 도시마다 대성당이 있습니다. 입장 시에는 복장에 유의를 요합니다. 아주 짧은 반바지, 치마, 민소매 T셔츠 등을 착용한 경우에는 입장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팁 문화
ㅇ 보통은 팁을 주지 않거나 거스름돈 정도를 놓아둡니다. 고급 식당의 경우 식사비의 5~10% 정도의 팁을 주기도 합니다.
ㅇ 택시의 경우 팁은 없으나 1유로 미만의 거스름돈을 팁으로 주기도 합니다.
출입국 정보
ㅇ 한국 국적자는 쉥겐협약 가입국 내에서 여행하였던 모든 기간(이전 출국일과 입국일 포함)을 합산하여 최종 출국일(*단속일) 기준으로 이전 180일 이내 최대 90일까지 무비자 관광 체류가 가능합니다.
ㅇ 스페인은 쉥겐협약 우선 적용 국가로, 이를 위반할 경우 불법체류를 이유로 입국거부, 강제출국, 벌금 등 제재를 받게 됩니다.
ㅇ 입출국 심사시 출입국 직원의 지시에 불응하거나 무례한 행동을 하는 경우, 혹은 모르는 외국인의 입국 심사를 돕다 본의 아니게 불필요한 오해(밀입국 동행 혐의)를 받는 경우 입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ㅇ 입국시 여권에 서명이 없는 경우, 위조여권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여권에 반드시 본인 서명을 하시기 바랍니다.
※ 출입국 관련 사항은 나라의 주권과 관계되어 있어 스페인 경찰에서는 입국거부, 강제출국 명령이 떨어지면 이를 따르는 것 외에 어떤 조치도 불허하고 있습니다.
ㅇ 여권 잔여 유효기간이 3개월 이상 남아 있어야 스페인 입국이 가능합니다.
ㅇ 스페인 입국시 면세 범위는 430유로, 담배 1보루이며, 1만유로 이상의 외화 소지 시 신고하셔야 합니다. (반입 금지 품목 : 총기 등 무기류, 육류 및 부산물, 우유 등)
참고 사항
ㅇ 하절기(3월말~10월)에 서머타임제가 시행되고 한여름에는 밤 10시가 넘어서 해가 집니다. 폭염기에 씨에스타(낮잠)를 실시하여 오후에 문을 닫았다가 저녁에 다시 여는 가게도 많습니다.
ㅇ 일반적으로 점심은 13:30 이후, 저녁은 20:30 이후에 식당 영업을 시작합니다.
ㅇ 한국과의 시차는 스페인의 경우 3월말~10월까지 7시간(서머타임 적용 시), 11월~3월까지 8시간이 늦습니다.
ㅇ 전국에서 스페인어(까스띠야어)를 사용하며 영어 통용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ㅇ 식수로는 수돗물에 석회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생수(agua mineral)를 구입하여 마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ㅇ 전력 사용 현황 : 230V, 50Hz (220~240V 사용 가능)
기본정보
이탈리아(Italy)
■ 수도 : 로마(인구 약 287만 명)
- 로마 주변을 포함한 “로마”도(Provincia di Roma) 인구는 약 435만 명
■ 면적 : 302,072㎢(한반도의 1.36배)
■ 민족 : 이탈리아인
- 북부에 프랑스ㆍ오스트리아ㆍ슬라브계, 남부에 알바니아ㆍ그리스계 등 소수 거주
■ 언어 : 이탈리아어
■ 종교 : 가톨릭(85.7%), 정교회(2.2%), 이슬람(2%), 개신교(1.2%), 기타(8.9%)
대사관 연락처
주소 : Via Barnaba Oriani 30 00197 Roma, Italia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9) 06-802461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9) 335-185-0499
e-mail:koremb-it@mofa.go.kr
총영사관 연락처
■ 밀라노총영사관
주소 : Piazza Cavour, 3 - 20121 Milano, Italia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9) 02-2906-2641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9) 331-955-7463
e-mail: milano@mofa.go.kr
주재국 신고
■ 경찰(Polizia) 긴급전화 : 113
■ 군경찰(Carabinieri) 긴급전화 : 112 (이탈리아에서는 군경찰이 범죄 관련 신고 접수, 현장 출동 및 검문 등 업무도 수행하고 있음)
■ 응급환자 구급차 : 118
■ 적십자 구급차 : 5510
■ 화재 : 115
■ 교통경찰(Polizia Stradale)
로마 : (06) 5577905
피렌체 : (055) 3283333
페루자 : (075) 5775353
■ 자동차 견인(ACI) : 116
■ 긴급전화 : 197+전화번호 ( 상대방이 통화 중일 경우 긴급전화를 이용하면, 상대방에게 긴급전화가 걸려온다는 사실을 자동으로 알려줌)
의료기관 연락처
■ 국립 병원에서는 외국인(관광객 포함)이 응급 상황 시에 병원 응급실(Pronto Soccorso)을 찾아가면 무료로 응급조치를 해줍니다. ㅇ 부상 정도에 따라 Rosso(빨강), Giallo(노랑), Verde(초록), Bianco(하얀) 티켓을 부여받게 되는데 Verde나 Bianco의 경우 최소한 4시간 이상 기다리셔야 합니다.
- 정밀검사 또는 수술을 받는 경우 치료비가 사후 청구되므로 여행자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병원 의사의 경우 대부분 간단한 영어 소통은 가능하나, 간호사 및 행정직원은 대부분 영어로 소통하는것이 어렵습니다.
- 응급실에서 영어 소통이 어려운 경우 한국인 이탈리아어 통역사에게 통역서비스를 요청하시면 됩니다.(통역비용은 사용자가 부담)
- 한국인 이탈리아어 통역사 명단은 주 이태리 한국대사관 홈페이지 공지사항 메뉴에 게재되어 있음
응급실이 있는 지역별 주요 병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마
* San Pietro(산 삐에트로 병원)
- 전화 : (06) 33581
- 주소 : Via Cassia 600
* Gemelli(제멜리 병원)
- 전화 : (06) 30151
- 주소 : Largo Agostino Gemelli 8
* San Filippo Neri(산 휠리뽀 네리 병원)
- 전화 : (06) 330621
- 주소 : Via Giovanni Martinotti 20
* Policlinico UmbertoⅠ(뽈리끄리니꼬 움베르또 쁘리모 병원)
- 전화 : (06) 49971
- 주소 : Viale Policlinico 155
* Bambino Gesu’(밤비노 제수 병원) 소아과 전문병원
- 전화 : (06) 68591
- 주소 : Piazza SantOnofrio 4
* Sandro Pertini(산드로 뻬르띠니 병원)
- 전화 : (06) 41431
- 주소 : Via Monti Tiburtini 385
* San Camillo(산 까밀로 병원)
- 전화 : (06) 58701
- 주소 : Circonvallazione Gianicolense, 87, 00152 Roma RM
* Salvator Mundi(살바또르 문디 병원)
- 전화 : (06) 588961
- 주소 : Viale delle Mura Gianicolensi 67
* Rome American Hospital
- 전화 : (06) 22551
- 주소 : Via Emilio Longoni 690
■ 피렌체
* Careggi(까레찌 병원)
- 전화 : (055) 7947235
- 주소 : Viale Gaetano Pieraccini, 17
* Santa Maria Nuova(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
- 전화 : (055) 69381
- 주소 : Piazza Santa Maria Nuova, 1
* Santa Maria Annunziata(산타 마리아 안눈치아따 병원)
- 전화 : (055) 69361
- 주소 : Via dellAntella, 58
■ 나폴리
* Pellegrini(펠레그리니 병원)
- 전화 : (081) 254 3333
- 주소 : Via Portamedina alla Pignasecca, 41
* San Paolo(산 파올로 병원)
- 전화 : 081 254 8211
- 주소 : Via Terracina, 219
■ 페루지아
* Santa Maria della Misericordia (산타 마리아 델라 미세리꼬르디아병원)
- 전화 : (075) 075 5781
- 주소 : Piazza Menghini, 1
■ 밀라노
* Ospedale Fatebenefratelli(파떼베네프라텔리 종합병원)
- 전화 : (02) 63631
- 주소 : Via Castelfidardo, 14
* Ospedale S. Giuseppe(산쥬세페 종합병원)
- 전화 : (02)85991
- 주소 Via San Vittore, 12
* Ospedale Policlinico Maggiore(폴리클리니코 종합병원)
- 전화 : (02) 55031
- 주소 : Via Francesco Sforza, 35
* Grande Ospedale Metropolitano Niguarda(니과르다 종합병원)
- 전화 : (02) 6444 2496
- 주소 : Piazza dell'Ospedale Maggiore, 3
* Ospedale San Raffaele(산라파엘레 종합병원)
- 전화 : (02) 26431
- 주소 : Via Olgettina Milano, 60 - 20132 Segrate MI
* Ospedale San Paolo(산파올로 종합병원)
- 전화 : (02) 81841
- 주소 : Via Antonio di Rudinì, 8
* Ospedale San Carlo Borromeo(산까를로 보로메오 종합병원)
- 전화 : (02) 40221
- 주소 : Via Pio II, 3
* Vittore Buzzi(소아과 전문 병원 비토레 부찌)
- 전화 : (02) 57991
- 주소 : Via Lodovico Castelvetro, 32
■ 베네치아
* Ospedale SS. Giovanni e Paolo(산죠반니 & 산파올로 종합병원)
- 전화 : (041) 529 4111
- 주소 : Sestiere Castello, 6777 - 30122 Venezia
* Ospedale dell'Angelo(메스트레 안젤로 종합병원)
- 전화 : (041) 965 7111
- 주소 : Via Paccagnella 11, - 30174 Mestre
■ 토리노]
* Azienda Ospedaliero - Universitaria Città della Salute e della Scienza di Torino(토리노대학 병원)
- 전화 : (011) 633 1633
- 주소 : Corso Bramante, 88
* Ospedale Humanitas Gradenigo(후마니타스 그라데니고 종합병원)
- 전화 : (011) 815 1211
- 주소 : Corso Regina Margherita, 8
* Ospedale Maggiore di Chieri(토리노 키에리 종합병원)
- 전화 : (011) 94291
- 주소 : Via De Maria, 1
■ 볼로냐
* Universitaria di Bologna Policlinico S.Orsola–Malpighi(볼로냐대학 폴리클리닉 병원)
- 전화 : (051) 214 1111
- 주소 : Via Albertoni, 15
* Ospedale Maggiore Pronto Soccorso Generale(마죠레 종합병원)
- 전화 : (051) 647 8111
- 주소 : Largo Bartoli Nigrisoli, 2
■ 제노바
* Ospedale Universitaria "San Martino”(산마르티노대학 종합병원)
- 전화 : (011) 5551
- 주소 : Largo Rosanna Benzi, 10
약국
■ 약국에서 약품 구입 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합니다.
- 단, 일반적인 감기약, 진통제, 소화제, 알레르기 약 등은 처방전 없이 구입 가능함
- 영업시간은 대개 09:00~13:00, 16:00~20:00이며 토요일 오후나 일요일은 휴무함
- 야간과 휴일에는 구역별로 순번제 영업 또는 특정 약국만 영업하며, 호텔 리셉션에 문의하거나 구글지도에서 ‘farmacia 24’를 검색하면 영업중인 약국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로마에 있는 야간 및 휴일 영업 약국
* Farmacia Dott.ssa Jucci
- 전화 : (06) 4880019
- 주소 : Piazza Cinquecento
* Internazionale
- 전화 : (06) 487 1195
- 주소 : Piazza Barberini 49
* Piram
- 전화 : (06) 488 4437
- 주소 : Via Nazionale 228
* Cola di Rienzo
- 전화 : (06) 3243130
- 주소 : Via Cola di Rienzo 213
■ 밀라노 소재 야간 및 휴일 영업 약국
* Farmacia Gloria S.a.s.
- 전화 : (02) 58436616
- 주소 : Corso Di Porta Romana, 56
* Farmacia Ferrarini
- 전화 : (02) 55194867
- 주소 : Piazza Cinque Giornate, 6
* Farmacia Casale
- 전화 : (02) 58101634
- 주소 : Via Vigevano 45
* Lloyds Farmacia 68
- 전화 : (02) 4984165
- 주소 : Piazza Ernesto de Angeli, 1
* Farmacia Stazione Porta Genova
- 전화 : (02) 58101634
- 주소 : Piazzale Stazione Porta Genova, 3
■ 토리노 소재 야간 및 휴일 영업 약국
* Farmacia Comunale
- 전화 : (011) 543287
- 주소 : Via XX Settembre, 5
* Farmacia Comunale
- 전화 : (011) 307573
- 주소 : Via Guido Reni, 155
교통
대중교통
■ 시내 대중교통으로 버스, 지하철, 전차, 택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승차권으로 지하철, 버스, 전차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승차권은 Tabacchi 가게(검은색 또는 푸른색 바탕에 흰색 T자 간판, 구멍가게에 해당) 또는 신문 가판대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버스나 전차 탑승 시 반드시 승차권을 개찰 기계(노란색)에 넣어 개찰하여야 합니다.
■ 여행자들이 모르고 승차권을 개찰하지 않아 검표원에게 적발될 경우 무임승차로 간주되어 벌금(50유로~80유로)을 내야 합니다.
- 로마의 경우, 승차권 1장으로 100분 이내에 환승시 버스와 전차는 제한 없이 사용하며, 지하철은 환승시간에 관계없이 1회 사용만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1일권, 2일권, 3일권, 7일권, 충전식 카드인 한 달 정기권 패스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밀라노의 경우, 승차권 1장으로 90분 이내에 환승시 버스와 전차는 제한 없이 사용하며, 지하철은 환승시간에 관계없이 1회 사용만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1일권, 2일권, 충전식 카드가 있으며, 한 달 정기권의 경우 신분증을 가지고 밀라노 교통국에 가입비를 내고 신청이 가능합니다.
- 버스, 지하철, 전차에서 소매치기가 많이 일어나므로 항상 소지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택시(하얀색 표시)는 미터기가 부착되어 있고 시간ㆍ거리 병산제가 적용되며, 모두 콜택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휴대폰 어플(app)의 ‘mytaxi, chiama taxi, it taxi, in taxi’ 등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전화로 호출할 수 있으며, 시내 곳곳에 있는 택시 승강장에서도 탑승할 수 있습니다.
- 일부 택시 운전원들의 경우 손님으로부터 받은 화폐단위를 속여 거스름돈을 적게 주는 경우가 있으니 요금 정산시 거스름돈을 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차로 이탈리아 주요 지역이 연결되며, 승객용 철도 서비스는 유럽 타 국가에 비해 수준이 떨어지며 연착과 지연이 잦은 편입니다.
- 기차 탑승 전에 표를 구입하고 기차역에 있는 개찰기(노란색)에서 개찰하고 탑승하여야 합니다. 기차표를 개찰하지 않고 탑승하여 검표원에게 적발될 경우, 무임승차로 간주되어 벌금을 물어야 합니다.
■ Ferry 노선은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섬인 사르데냐와 시칠리아는 물론, 프랑스의 코르시카 섬, 동유럽의 알바니아 또는 크로아티아, 남유럽의 그리스, 스페인 그리고 아프리카의 튀니지와 모로코까지 연결됩니다.
운전면허증 관련
■ 한국에서 발행한 국제운전면허증과 원본 한국면허증을 같이 휴대하여야 운전이 가능합니다.
- 이탈리아는 1949년 제네바 협약의 국제운전면허증 인정 국가이므로 체류한 지 1년 동안은 국제운전면허증으로 운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1년 경과 후에는 면허증을 교환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이탈리아 면허증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이탈리아에 주소를 가진 지 1년이 경과한 후에도 국제운전면허증을 갱신하여 운전하는 것은 불법이며, 경찰에 적발될 경우, 무면허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한국운전면허증을 주이탈리아대사관에서 번역공증하여 소지하면 1년간 운전이 가능합니다.
■ 대한민국 운전면허증을 이탈리아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 정부와 이탈리아 정부는 2002.2.15. 운전면허 상호교환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이에 따라 협정상 이탈리아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은 이탈리아에서 거주지 등록(Residenza)을 한 때로부터 1년 이내에 한국운전면허증을 이탈리아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한국운전면허증의 교환과 관련된 이탈리아 정부의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Accordo 15.2.2002 entrato in vigore il 4.5.2002(협약 체결)
• Circolare DTTSIS 23.4.2002 prot. n. 1539/M340(협약 발효)
• Circolare 10.12.2009 prot. n. 0106345
도로교통
■ 도로 사정은 좋은 편이며 고속도로와 국도로 전국이 연결됩니다.
-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운전석과 조수석 모두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시내 주행속도는 40km 이내로 제한되는 곳이 많습니다.
- 주요 관광지와 도심 밀집 지역은 진입 제한구역(안내판에 Zona Traffico Limitato 혹은 Z.T.L.라는 문구가 있음)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진입 시 과태료(80유로~335유로)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렌트카로 진입제한구역(ZTL)에 진입한 경우, 자치경찰이 부과하는 진입위반 과태료 이외에 렌트카 회사에서 경찰에 위반 진입한 운전자를 찾아 자치경찰에 알려주는 행정비용을 담보된 신용카드로 청구하니 특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 로마, 밀라노, 피렌체 등 대도시의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주차난이 심각합니다.
- 주차공간은 주차선 색으로 구분되며, 흰색은 무료 주차구역, 청색은 유료 주차구역, 노란색은 장애인 전용, 외교차량 전용, 해당 지역 거주 자 전용 또는 버스 정거장을 의미합니다.
- 운전 질서를 잘 지키지 않고 난폭하게 운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오토바이들이 차선을 무시하고 무질서하게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접촉사고 등 각별한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 차 안에 있는 물건을 훔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짐을 차 안에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운전 중 이런저런 이유로 차를 세우게 한 후차 안의 내용물을 훔치는 소매치기단을 만날 수도 있으니,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세운 경우는 차 문이 잠겨있는지를 항상 확인하고 주위를 경계하여야 합니다.
■ 고속도로 이용 시 통행료를 지불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제한속도는 110~130 km입니다.
교통 법규
■ 일반적인 교통법규는 한국과 거의 유사하므로 법규에 유의하여 운전하면 되며, 특히 주의가 필요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속도제한과 관련, 고속도로는 시속 130킬로미터, 주요시외도로 및 주요국도는 시속 110킬로미터, 일반 시외도로 및 일반국도는 시속 90킬로미터, 시내 도로는 시속 50킬로미터이며, 도로안전 상황에 따라 시속 70km 또는 30km 등으로 바뀌니 제한속도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 속도위반의 경우, 10km/h 이하의 경우 41유로 벌금, 11~40km/h 위반 시 169유로 벌금과 벌점 3점, 40~60km/h 위반 시 531유로 벌금과 벌점 6점, 시속 61km/h 이상 위반 시에는 벌점 10점과 벌금 828유로뿐만 아니라 6개월 내지 12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이 병과 됩니다. (※ 상기벌금은 변동될 수 있음)
■ 속도위반을 단속하는 방법은 길가에 설치된 속도측정기로 단속하거나 고속도로에서는 구간단속이 실시되며, 시내에서는 자치경찰(Polizia Locale, Vigili)이 이동식 속도측정기로 단속을 합니다.
■ 음주운전은 혈중 알코올 농도 0.5g/l부터 단속이 되며, 0.5~0.8g/l가 532유로 과태료에 면허정지 3~6개월, 벌점 10점이 부과되는 정도로 매우 처벌이 무거우며 음주 사고의 경우, 형법상 교통살인죄로 처벌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운전석과 조수석, 뒷좌석 모두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 도로 곳곳에서 경찰(Polizia) 또는 군경찰(Carabinieri)이 빨강색 표지판을 들어 차를 세우는 방식으로 무작위 단속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에는 차량등록증, 차량보험증, 체류허가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모든 서류 및 안전장치 형광조끼와 안전삼각대를 소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단속합니다. 경찰의 단속에는 친절하게 응대하여야 하며 불친절하게 대할 경우, 경찰은 잘못된 사항에 대해 자신이 부과할 수 있는 최대한의 벌금을 부과할 수가 있습니다.
■ 겨울철 1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는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거나 타이어체인을 차량 안에 소지하고 있어야 합니다.(지역에 따라서 5월 15일까지인 곳도 있음) 이를 지키지 않았을 시에 경찰의 불시 검문 시에 벌금이 부과되므로, 렌트카를 이용할 때에도 차량 안에 안전장치가 전부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도로 상황
■ 도로사정은 좋은 편이나 고속도로를 제외한 국도와 시내도로는 노후화 및 비로 인해 도로가 갈라지고 구멍이 패인 경우 등 노면이 손상된 곳이 많아 운전 시 주의하여야 합니다.
■ 로마 시내의 경우 도로가 과거의 도로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구불구불하고 일방통행로가 많아 복잡하며, 도로폭도 편도 1 또는 2차선 도로가 대부분인데다가 도로 한편 또는 양쪽으로 노상주차장이라 차량 흐름이 느리고 돌발 상황도 많아서 교통 체증 및 사고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 외곽지역 등 단속카메라가 없는 곳에서는 과속하는 차가 있는 편이며, 가로등이 전혀 없어서 어두운 곳도 많습니다. 외곽 지역, 시골길일수록 야간에 운전 지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긴급 출동 견인 서비스가 있으나, 한국만큼 출동이 신속하지 않은 편입니다.
ACI 차량 지원 서비스(24시간, 유료 서비스)
※ tel. 803-116, (로밍폰으로 걸 때)tel. 800-116-800
■ 대부분의 도시에 일반통행길이 아주 많기 때문에 항상 좁은 도로 진입 시에는 표지판을 잘 확인하여 진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회전 교차로(로터리)에서는 교차로 내에서 돌고 있는 차량이 우선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교차로에서는 바닥에 ▴▴▴▴(양보) 표시가 되어있는 것을 잘 확인하고, 위 표시가 있으면 잠시 멈춘 후 교차된 다른 쪽 차선에 차량 이동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출발하여야 합니다.
■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노상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색선(유료) 또는 흰색선(일반적으로 무료)으로 표시된 주차구역에 일반 차량을 주차할 수 있습니다.
■ 주차 및 주차료 정산 방법은 청색선 구역은 유료주차구역으로 주차미터기에서 주차시간당 일정액의 주차요금(지역별로 약간씩 다름)을 지불하고 지불 영수증을 차량 대쉬보드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흰색선 구역은 체류허가증을 가진 사람에게는 무료이지만, 주요 병원 인근지역에서는 주차를 3시간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 노란색선은 무료주차 구역이지만, 장애인 전용 또는 경찰·군경찰 등 특수 목적차량 전용 구역이므로 일반차량은 주차하면 안 되며, 분홍색선은 임신 중인 여성 및 최근 출산한 여성에게 할당된 구역으로 병원, 대형 쇼핑센터, 수퍼마켓 등 지역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주차미터기는 동전을 넣으면 돈에 해당하는 주차가능시간이 표시되는 방식이며, 도심은 단위시간당 비싸고 외곽으로 갈수록 싼 편이며, 주차미터기를 털어가는 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주차미터기를 신용카드 번호를 넣고 이용하는 기계로 바꿔가고 있는 중입니다. 주차미터기에 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며, 지역에 따라서 자동차 번호판을 입력하게 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운전 습관
■ 운전질서를 잘 지키지 않고 난폭하게 운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않거나 중앙선 침범하여 유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신호뿐만이 아니라 다른 돌발 상황에도 대비하여 안전 방어 운전을 하여야 하며, 특히 오토바이들이 차선을 무시하고 무질서하게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접촉사고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차선 변경 시에 깜박이를 켜지 않거나, 후진할 때 비상 신호등을 켜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앞차를 추월할 때 중앙선을 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방어 운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밀라노 등 북부지역은 교통질서는 잘 지키는 편이지만 양보를 잘 하지 않으며, 나폴리 등 남부지역은 교통질서는 잘 지키지 않는 편인 반면 양보는 좀 더 나은 편입니다.
■ 출퇴근 시간의 교통체증 및 어려운 주차 사정으로 인해 오토바이 이용자들이 많으므로 운전 중에는 오토바이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하여야 하고 특히, 차선 변경을 할 때에는 항상 오토바이가 옆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어느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신호가 없는 횡단보도의 경우에, 보행자가 길을 건너려고 기다리고 있으면 차량이 멈춰주는 경우가 많으나 멈추지 않을 때는 손을 들어 표시하고 차량이 멈추면 건너야 합니다.(횡단보도임에도 차량이 질주하는 경우가 많으니, 차량 정차를 반드시 확인할 것)
■ 렌트카를 이용할 경우, 렌트카 회사에서는 여권, 한국운전면허증 및 국제운전면허증, 보증용 신용카드(Debit Card 체크가드는 불가함으로 주의)를 요구하며 계약서 내용, 특히 보험 관련 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하고, 사고 또는 파손 시 야간에도 연락할 수 있는 서비스 전화번호를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렌트카 차량은 대부분 수동식 기어의 차량이며, 오토매틱 차량을 사전에 예약하였음에도 수동식 기어 차량을 배정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관련 사건사고 발생시 대처방법
■ 이탈리아에서는 렌트카 파손, 도난 사건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며, 차량 안에 물건이 보이는 경우, 창문을 파손하고 내부에 물건을 훔쳐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귀중품, 여권, 핸드폰 등은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며, 짐이나 장비는 바깥에서 보이지 않는 트렁크에 항상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법 주차의 경우 이런 사고를 당할 위험이 더 높으니 주의하여야 하며, 관리인이나 경비원이 있는 사설 유료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합니다. CCTV가 있어도 작동하지 않거나 노후화 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CCTV가 있다고 해서 안심하면 안됩니다.
■ 교통사고의 경우, 사고처리 과정은 한국과 비슷하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장소를 되도록 이탈하지 말고, 비상등을 켜고 현장에 차를 세운 후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형광조끼(giubbotto catarifrangente)를 입고 차에서 내려 교통사고 표시용 안전삼각대(segnale mobile triangolare di pericolo)를 차량으로부터 후면 50~100미터 지점에 설치하고, 피해상황을 살펴 현장사진 및 가해·피해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한 사진을 찍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 차량 통행이 없는 한적한 장소, 어두운 밤, 여성 운전자 혼자 운전 등 안전이 우려되는 경우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곧바로 차에서 내리지 말고 경찰에 사고 신고를 한 후에 경찰관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안전을 확보하는 요령입니다.
■ 일반적으로 경미한 접촉 사고 시 경찰 신고의무는 없으며 상대 운전자가 본인과실을 인정하고, 사고경위가 명확하면 운전자 간에 사고합의서(“Modulo Blu”, “C.I.D.”또는 “C.A.I.”)에 사고경위 및 개인정보를 기입하여 작성한 후 서명하고 각자 한부씩 나눠 가져서 각자의 보험회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 사고합의서 : CAI = CID, Constatazione amichevole di incidente
그러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거나 사고경위가 명확하지 않고 과실에 대한 의견 차이나 상대 운전자가 시간이 없다며 현장을 벗어나려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고합의서를 작성하거나 서명하지 말고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연쇄충돌과 같은 대규모 교통사고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과실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현명하며, 만일 상대방 운전자가 도망을 치려하는 경우나, 가해운전자가 사고합의서에 서명을 거부하더라도, 차량번호를 확보하고 사진을 찍어 두었다면 보험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강하게 막거나 서명을 강요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이 서명을 강요하여도 서명할 의무도 없습니다.
■ 인명피해 또는 부상자가 발생한 중대사고의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112)하고 구급차와 경찰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합니다. 사고로 인하여 교통 정체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경찰 도착 시까지 현장을 보존하고 인명 구조를 하여야 합니다.
■ 렌트카의 경우 교통사고 발생 시 렌트카 회사에 연락하여 사고에 대한 내용을 전달하고 이와 관련된 추가지침을 받는 것이 원칙입니다.
※ 차량이용이 불가능한 고장 또는 심각한 파손의 경우, 렌트카 회사에 연락하여 차량 견인을 요청 하고 가까운 지점을 안내받아 대체차량을 제공 받으면 됩니다.
※ 차량 도난 시 현장에서 바로 경찰에 신고하고, 렌트카 회사에도 도난신고를 접수하여 경찰신고에 필요한 렌트카 차량 정보를 확인해야합니다.(차량제원, 렌트카 계약서 번호 등)
기타 유의사항
■ 접촉사고 사기 대응 요령
- ‘접촉사고 사기’는 ‘스친 흔적 사기’라고도 불리며, 로마 등 이탈리아 여러 지역에서 흔히 발생하고 있는 사기 수법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했다며 차를 세우게 한 후 합의금을 요구하거나 차량의 짐을 훔쳐가는 수법으로, 자신이 사고를 내지 않았다고 확신이 들 경우, 경찰을 불러서 해결 하겠다고 대응하면 됩니다.
※ 사기범 차는 천천히 운행하며 사기대상 차량이 추월하게 하여 대상차가 근접하여 추월하는 동안 차체에서 둔탁한 충격 소리를 나게 한 후, 차량을 멈추게 함. 이후 사기범은 자신 차량의 스친 흔적을 보여 주고, ‘교통사고합의서(CID)’를 작성하거나 경찰을 부르자고 함. 이후 경찰이 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자신이 기다릴 시간이 없다고 하며 돈으로 간단히 해결하자고 합의를 종용함
날씨
날씨
■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1년 내내 온화한 편입니다. 최고 성수기는 7~8월로 전 세계에서 온 여행자들로 관광지가 매우 북적이며, 가장 더운 때이기도 합니다. 가장 쾌적하게 여행을 할 수 있는 시기는 4~6월, 9~10월이며, 겨울도 다른 유럽 국가나 우리나라에 비해 따뜻한 편입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 문화
ㅇ 관공서, 은행, 레스토랑, 상점 등에서 일처리가 한국에 비해 매우 느리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ㅇ 무더운 여름 주요도시의 성당을 방문할 경우, 짧은 반바지나 민소매 티셔츠 등 신체부위를 많이 드러내는 옷은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부위가 많이 노출된 복장을 한 경우 입장이 거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노출된 신체부위를 가릴 수 있는 스카프나 숄을 준비해 두는 것도 좋습니다.
ㅇ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이며, 강력범죄피의자가 아닌 경우 대부분 불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수사기관에서 피의자를 임의동행 형식으로 조사하는 경우 48시간 이상 구금할 수 없습니다.
[건물 층수 차이]
ㅇ 우리식의 1층은 0층으로 표기되며 이탈리아어로 pianoterra 혹은 pianterreno (땅층)으로 표기됩니다.
[식당 이용]
ㅇ 식당에서는 계산서에 봉사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팁을 남기지 않아도 됩니다. 제공받는 서비스에 따라 1~5유로 정도 남기기도 하며, 계산 후 잔돈을 남기기도 합니다.
[화장실 이용]
ㅇ 공공건물이나 큰 백화점에 있는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대부분 무료이나 여행객이 자주 드나드는 중앙역(예. 로마 테르미니역, 피렌체 산타마리아노벨라역)에 위치한 화장실은 유료입니다. 이 때 이용시설은 모두 자동화되어 있어 별도의 팁을 줄 필요 없으며, 사람이 직접 이용료를 받는 경우 50센트 정도 팁으로 주면 됩니다.
팁 문화
ㅇ 서비스가 제공되는 분야에 대해서 약간의 팁 관행이 있기는 하나, 의무는 아니므로 제공받는 서비스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
공휴일
ㅇ 공휴일에는 대중교통 및 상점 운영 시간 등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행 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휴일(2019년 기준)
- 1월 1일 신정(Capodanno)
- 1월 6일 주현절(Epifania)
- 4월 21일 부활절(Pasqua)
- 4월 22일 부활절 다음 월요일(Psquetta)
- 4월 25일 해방 기념일(Festa della Liberazione)
- 5월 1일 노동절(Festa del Lavoro)
- 6월 2일 공화국 선포일(Festa della Repubblica Italiana)
- 8월 15일 성모마리아 승천일(Ferragosto)
- 11월 1일 제성절(Ognissanti)
- 12월 8일 성모무염잉태축일(Immacolata Concezione)
- 12월 25일 성탄절(Natale)
- 12월 26일 성스테파노축일(Santo Stefano)
식수
ㅇ 거리의 식수대에서 나오는 물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음식점, 가판대,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하는 생수를 마시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물은 크게 일반 생수와 탄산수로 나누어져 있고, 슈퍼마켓을 이용하면 다양한 브랜드의 생수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환전
ㅇ 분실 및 도난의 위험에 대비하여 2개 이상의 신용·체크카드와 현금을 모두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에서의 환전의 경우, 해외에서 인출이 가능한 카드를 이용하여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거나 은행, 우체국, 환전소 등에서 환전을 할 수 있으며, ATM을 이용할 경우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 설치된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기계에 이상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은행이나 우체국 등이 근무하는 시간대에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전을 할 경우 현금 살 때 환율과 팔 때 환율, 그리고 수수료를 정확히 확인한 후 거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핸드폰 및 인터넷 사용
ㅇ 한국에서 사용하던 유심을 그대로 해외 로밍 서비스로 이용할 수도 있고, 현지에서 유심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대도시 중앙역과 그 근처에는 현지 유심 구입과 관련된 안내가 영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여행자들을 위한 단기 요금제 상품도 많으니 통신사 별로 꼼꼼히 비교해본 후 나에게 맞는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실
ㅇ 우리나라처럼 거리 곳곳에 무료 화장실이 있지 않으므로 박물관, 식당 등을 방문할 때 화장실도 함께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주변에 무료 화장실이 없을 경우 유료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바(bar)에서 커피를 한 잔 마신 후 화장실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본정보
프랑스(France)
■ 언어 : 불어
■ 기후 : 대부분의 지역이 서안해양성 기후이나, 동부지역은 대륙성 기후, 남부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를 보임
■ 면적 : 543,965㎢ (한반도의 2.5배)
■ 주요도시 : 파리, 리옹, 마르세유
■ 종교 : 가톨릭, 신교, 유태교, 이슬람교
■ 통화 : 유로화
- 주요 관광지 및 중심가에 환전소 다수
■ 전화 : 직접 카드를 넣는 주입식 또는 코드번호를 누르는 비주입식 카드 사용
■ 전화코드(국가번호 33)
- 국제전화코드 00
- 파리 및 근교 지역코드 01
- 휴대전화 코드 06 또는 07
■ 한국과의 시차
-7시간 : 3월 마지막 주 일요일 -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썸머타임 적용)
-8시간 : 10월 마지막 주 일요일 -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 주요공휴일 : 신정(1.1), 부활절(4.22), 노동절(5.1), 승전기념일(5.8), 예수승천일(5.30), 성신강림일(6.10), 혁명기념일(7.14), 성모승천일(8.15), 만성절(11.1), 휴전기념일(11.11), 성탄절(12.25)
■ Paris 안내
- 면적 : 105.4 ㎢ (서울의 1/6)
- 구역 : 20개구(Arrondissement)
대사관 연락처
- 주소 : 125 rue de Grenelle 75007 Paris, FRANCE(지하철 13번선 Varenne 역)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3) 1-4753-0101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3) 6-8028-5396
- E-mail : koremb-fr@mofa.go.kr / consulat-fr@mofa.go.kr
주재국 신고
■ 경찰 : 17, 112
■ 소방서 : 18
■ 분실물 센터(파리 및 인근) : (+33 0) 821 002 525
■ 비자카드, 마스터 카드 분실신고 센터 : (+33 0) 892 705 705
- 수표 분실시 수표를 발급한 해당은행에 개별 신고
의료기관 연락처
■ 종합병원
- Hopital HOTEL-DIEU : 1 place du Parvis Notre-Dame, 75004 Paris (전화 : (+33 0) 1 4234 8234)
- Hopital EUROPEEN-GEORGES-POMPIDOU : 20 rue Leblanc, 75015 Paris (전화 : (+33 0) 1 5609 2000)
■ 소아병원
- Hopital NECKER : 149 rue de Sevres, 75015 Paris (전화 : (+33 0) 1 4449 4000)
■ 앰블란스 등 응급의료 서비스 : 국번없이 15(SAMU)
■ 응급의사 : (+33 0) 1 4707 7777
■ 원칙적으로 약품 구입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하나, 감기약, 진통제 등 몇몇 기본 의약품은 처방전이 없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의사의 진료를 위해서는 사전 예약이 필수적이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종합병원 응급실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영어로 의사소통 가능한 파리 소재 일반의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 Dr. Francis Slattery : 10 Rue D' Eylau,75016 Paris (전화 : (+33 0) 1 4742 0234)
- Dr. Nancy Salzman : 1 Avenue de Lowendal, 75007 Paris (전화 : (+33 0) 1 4563 1843)
- Dr. Stephen Wilson : 54 Rue des Archives, 75004 Paris (전화 : (+33 0) 1.4887.2110)
주요 한인회 연락처
■ 재불한인회(파리) : 09 7155 4441
■ 디종 한인회 : 03 8073 6573
■ 리옹 한인회 : 06 8060 3348
■ 몽펠리에 한인회 : 06 7273 5250
■ 엑상프로방스 한인회 : 06 2969 4984
■ 니스/칸느 등 남프랑스지역 영사협력원 : 06 0952 3762
교통
대중 교통
■ 파리의 대중교통은 지하철, 버스, Tram(전차), RER(교외급행전철)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RATP사에서 파리시내 대중교통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관계로 티켓은 파리시내에서 각 교통수단간 상호 호환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 RER을 탑승하여 파리 외곽으로 이동하는 경우(예: 디즈니랜드, 베르사이유궁, 샤를 드골 공항), 상기 파리시내 대중교통 티켓으로는 탑승할 수 없으므로 해당 목적지 해당 티켓을 별도로 구입해야 합니다.
※ 대중교통 관련 홈페이지
- 종합 정보(요금 등 종합안내) : http://www.ratp.fr
■ 대중교통 탑승시 수시로 검표원이 표를 검사하므로 하차 시까지 표를 지참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무임승차 시 고액의 벌금을 즉시 현금 및 카드로 납부해야 하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택시는 공항, 기차역, 유명 관광지에 위치한 택시 정류장에서 택시를 잡을 수 있으며, 시내에서 거수로 택시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 통상 택시 운전사 옆자리(조수석)에는 손님을 태우지 않습니다.
■ 철도는 국영철도회사인 SNCF가 운영하고 있으며, 파리 시내 주요 기차역으로는 생-라자르역, 북역, 동역, 리용역, 오스테리츠역, 몽파르나스역 등이 있습니다. 행선지에 따라 역이 달라지므로 예약시 출발역 및 도착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로교통
■ 시내의 경우, 일방통행 길이 많으며, 주요도로 차량이 우선인 한국과는 달리, 간선도로에서 진입하는 우측 차량이 우선이므로 운전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전반적으로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습니다. 단, 도심에서는 도로가 비좁고 교통량이 많아 속도를 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주차시설이 부족한 편입니다.
주요 교통 법규 및 문화
■ 우측에서 진입하는 차가 우선으로 운행 중 우측진입 도로를 항시 주의하고, 진입 차량에 양보 要
■ 일방통행이 많아 도로 진입 전 주의가 필요하며, 신호등은 좌·우측에 위치하여 외국인 운전자의 경우 명확한 식별 곤란한 경우 多
■ 중앙선, 일반차선의 색 구별(모두 흰색)이 없으며 좁은 차로는 차선자체가 없는 경우 多
■ 보행자는 신호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도로에서는 항상 보행자가 우선이므로 외국인 운전자의 경우 신호 준수는 물론 무단 횡단자 등에 각별히 주의 要
■ 주요도로 등 많은 도로에서 신호등에 의한 차량진행보다는 상호 양보에 의한 진행 경우 多
■ 오토바이가 많으며, 갑작스럽게 끼어드는 사례가 많으므로 주의 要
■ 원형 교차로(Rond-point) 및 원방향 교차로(Carrefours a un sens giratoire) 가 많이 있음
- 원형교차로는 별도의 표시가 없으며, 일반 도로상과 마찬가지로 우측 우선권, 즉 진입차량이 우선권을 보유함. (예, 개선문 교차로)
- 원방향교차로는 진입 입구에 빨간 역삼각형 모양의 양보(Cedez le passage)표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회전 중인 차량이 우선권을 가짐
기타 유의사항
■ 주요 교통 규범 위반 시 벌금사항 (위반 수준 별 면허 벌점 부여)
날씨
날씨
■ 프랑스의 기후는 온난기후가 주류를 이루지만 남부지역의 지중해성 기후에서 북서부지역의 대서양기후 등 다양한 기후형태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 위도가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후는 연중온난한 편이며, 여름에는 건조하고 선선하며,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올 뿐 심한 추위는 없는 날씨가 이어집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문화
[팁문화]
ㅇ 식당에서는 계산서에 봉사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팁을 줄 필요는 없으나 통상 계산 후 약간의 잔돈을 남겨놓는 것이 관행입니다.
ㅇ 호텔에서는 통상 포터에게 짐 1개당 1유로, 룸메이드는 2유로의 팁을 줍니다.
[건물 층 수 차이]
ㅇ 우리식의 1층은 프랑스에서 0층으로 표기되며 RDC 또는 RC (Rez-de-Chaussee) 등으로 표기합니다.
[화장실 이용]
ㅇ 파리 시내 곳곳에 간이 공중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번화가 및 쇼핑 아케이드내에 무료 또는 유료 화장실이 있습니다.
종교관련
ㅇ 종교 선택은 자유이며, 정해진 장소에서 거행되는 종교의식도 허용됩니다.
ㅇ 그러나 국공립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 및 관계자들이 종교색을 나타내는 의상(이슬람 히잡 등) 또는 눈에 심하게 띄는 것(십자가 목걸이 등)을 착용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ㅇ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부르카(이슬람 여성이 착용하는 안면 가리개 의상) 착용 금지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기타
[비자정보]
ㅇ 한-프랑스 사증면제협정에 따라 90일 이내 단기방문 목적의 체류시에는 입국사증(비자)이 필요하지 않으나, 90일 이상 장기 체류코자 할 경우에는 주한프랑스대사관에서 입국사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출입국]
ㅇ 샤를 드골 및 오를리 공항을 통해 처음 유럽에 입국할 때에는 추후에 불법체류 의혹을 받지 않도록 반드시 입국 스탬프를 받아야 합니다. 간혹 심사관이 스탬프를 찍지 않을 경우, 스탬프 날인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ㅇ 우리나라에서 통상 접종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예방접종은 필요치 않습니다.
[통관]
ㅇ 프랑스 관세법에 따라 일부 품목은 면세 반입이 가능합니다.
[전력 현황]
ㅇ 220-240V, 50HZ
[언어]
ㅇ 프랑스어
[환전]
ㅇ 여행자 수표나 현금 등의 환전은 은행이나 각 공항과 기차역 및 시내의 환전소에서 할 수 있습니다.
[통신]
ㅇ 공중전화는 대부분 카드전화기이며, 신문가판점, Tabac, 우체국(La Poste), 지하철 및 RER 매표소 등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의 통화요령은 00(국제전화)+한국(82)+도시(0을 빼야 함)+개인번호순입니다.
ㅇ 한국과의 통화요령은 00(국제전화)+한국(82)+도시(0을 빼야 함)+개인번호순입니다. (각 통신사 로밍서비스별 이용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ㅇ 여행자의 경우 프랑스 내 통신사(Orange, SFR, FREE 등)에서 판매하는 단기 SIM 카드를 별도 구입,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ㅇ 최근 각종 통신회사에서 전화, 인터넷, 케이블TV 등을 패키지로 묶어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개인의 취향과 선호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필리핀(Philippines)
■ 위치: 마닐라 기준 북위 13도, 동경 122도
■ 수도 : 마닐라
■ 면적 : 약 300,000 ㎢ (한반도의 1.3배)
- 7,107개의 도서로 구성, 전체의 65%가 산악지대, 루손(104,688㎢)과 민다나오 (101,999㎢)가 총면적의 65%차지
■ 언어 : 영어, 따갈로그어 (공용)
■ 인종 :말레이계가 주종이며 중국, 미국, 스페인계 혼혈 다수
■ 종교 : 가톨릭 83 %, 개신교 9%, 이슬람교 5% 불교 및 기타 3%
대사관 연락처
- 주소 : 122 Upper Mchinley Road, Mckinley Town Center, Fort Bonifacio, Taguig City, 1634 Philippines
- E-mail : ph04@mofa.go.kr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63) 2-8856-9210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63) 917-817-5703
■ 세부분관 연락처
- 주소 : 12th Floor Chinabank Corporate Center, Lot 2, Samar Loop Cor. Road 5, Cebu Business Park, Mabolo, Cebu City
- 이메일 : phi_cebu2015@mofa.go.kr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63) 32-231-1516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63) 917-808-3907
주재국 신고
■ 경찰 : 117, 166(세부, 보라카이 바기오 등)
■ 앰뷸런스 911/112
■ 소방서 : 116/757
■ 교환 : 187
의료기관 연락처
■ 병원 목록 : https://www.doh.gov.ph. 응급시 전화 911/112
■ 주요 병원 연락처 : 마카티 메디칼 센터(마카티 소재) : 앰뷸런스 02-888-8910, 세인트 룩 병원(포트 보니파시오 소재) : 789-7700
교통
대중교통
■ 버스 및 소형택시(흰색, Ponto de Taxi)가 있으나 버스 내에서 강도, 소매치기 등 피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시내 이동시에는 택시를 이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마닐라 공항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흰색 일반 택시보다는 옐로우(노란색) 택시 또는 선불제 쿠폰 택시를 이용하시고, 택시 승차후에는 지인에게 차량번호(택시 내부에 기재되어 있음), 승차지점, 목적지 등을 알려주기 바랍니다.
도로교통
■ 한국과 같이 우측통행을 하며, 운전자들이 일반적으로 차선을 잘 지키지 않는 편입니다. 또한 갑작스런 정지 및 차선 변경 등 난폭운전으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높습니다. 시내 중심가에는 일방 통행이 많습니다.
■ 필리핀에서는 국제운전면허증을 도착일로부터 9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국제운전면허증과 함께 한국 운전면허증 및 여권을 반드시 함께 소지하셔야 하며, 교통 단속원들이 국제운전면허증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시비가 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 장기체류자의 경우에는 한국운전면허증을 필리핀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여권 및 운전면허증 원본을 가지고 주필리핀 한국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아 육상교통국(LTO)에 제출한 후 제반 절차를 거치면 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무보험 차량이 많고 사고가 발생해도 무책임하므로 접촉사고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필리핀의 가장 흔한 대중교통 수단은 지프니이지만, 여행객의 경우 안전을 위해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택시의 경우에도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호텔이 직접 운영하는 택시나 호텔을 통해 부른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그랩(Grab) App: 동남아권 국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차량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여 탑승이 가능하고 이동거리, 시간대 등에 따라 고정된 요금을 지불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합니다.
- 지프니 : 필리핀 서민의 기본적인 교통수단으로 군용지프 모양을 한 승합차로 통상 15-20명 이상 승차합니다. 지프니 승객을 대상으로 한 강도 등 강력 사건이 발생하므로 가급적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트라이씨클 : 모터싸이클을 개조해서 승객 3-5명을 태울 수 있게 만든 대중 교통수단으로 보통 짧은 노선을 운행합니다.
- 택시 : 기본요금은 30~40페소로 지역에 따라 다르며, 합승은 극히 드물고, 택시를 이용할 때는 미터기 작동을 확인한 후 요금을 지불하도록 하되, 미리 택시 요금을 흥정한 뒤 타기도 합니다.
- 프리미엄 택시 : 공항, 호텔 및 쇼핑몰 등에서 주로 운영되는 택시로 미터기 요금 이외에 30~50페소가 추가됩니다.
- 버스 : 주로 장거리 시외 지역을 운행하며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다르나 에어컨의 버스의 기본 요금은 11페소, 일반 버스는 8페소입니다.
- 메트로 마닐라내 지상 경전철(MRT, LRT) : 구간별 요금이 다르나 기본 요금이 15페소 정도이고, 오전 5시부터 오후 10시30분(LRT는 새벽1시)까지 이용 가능합니다.
※ 비용은 여행시점에 별도 확인 필요
주요 교통 법규 및 문화
■ 한국과 운전석 위치가 같음
■ 마닐라 지역에서는 차량 5부제 정책 시행
■ 국제 면허증은 입국일로부터 90일까지만 허용
■ 운전시 면허증, 여권(사본), 차량 등록증 사본 및 보험 증명서 소지 필요
■ 임대차량 운전자는 최소 21세 이상이여야 함
■ 운전 가능 최소 연령은 student license를 소지한 16세 이상의 운전자임, 다만, 운전면허증 소지자가 조수석에 탑승해야 함
기타 유의사항
■ 교통사고 발생을 대비해 현지어를 구사하는 운전기사를 고용하는 것이 유리
■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 탑승시 가급적 호텔, 대형쇼핑몰, 기타 경비원이 차량번호를 기록하는 곳에서 승차-은행, 환전소, 현금인출기 앞에서 승차 삼가
날씨
날씨
■ 필리핀은 열대성 기후 지역으로서, 6월-10월은 우기이고, 11월-3월은 건기입니다. 4월-5월은 연중 가장 더운 날씨를 보입니다.
■ 일자별 기상 정보는 필리핀 기상청 홈페이지(www.pagasa.dost.gov.ph)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문화
ㅇ 필리핀에서는 인사를 할 때 친척간에는 주로 어른의 손을 아랫사람이 자신의 이마에 대며(mano), 대체적으로는 악수를 나누고 사교적인 곳에서는 뺨을 맞대는 경우도 자주 있음
ㅇ 필리핀 국민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기보다는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 지에 더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으며, hiya(히야; 체면, 부끄러움)를 매우 중시합니다.
- 현지인을 유순하고 쉬운 상대로 착각하고, 모욕을 주거나 공개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강하게 드러낼 경우,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필리핀 여행시 현지인의 감정을 자극하는 언동이나 행동은 반드시 삼가야 합니다.
ㅇ 필리핀에는 도로사정이 좋지 않아 항상 교통체증이 심합니다. 따라서 약속 시간보다 30분 내지 한 시간 정도 늦더라도 크게 실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ㅇ 필리핀 사람들은 식사 초대에 사전양해 없이 다른 사람(부하, 친구, 비서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니, 항상 여유있게 예약하고 비용을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교관련
ㅇ 필리핀 사람들은 종교가 일상 생활화 되어 있으며, 마을 축제는 물론 국가 지정 공휴일도 가톨릭 전통과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소수이지만 이슬람교의 주요 행사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기도 합니다.
ㅇ 가톨릭의 규율에 따라 낙태가 철저히 금지되어 있고, 이혼도 결혼 무효를 제외하고는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팁 문화
ㅇ 서비스를 받을 때는 팁을 주는 것이 관례로서, 보통 50 ~ 100페소 내외를 팁으로 줍니다.
기타
ㅇ 시차는 한국 대비, 1시간이 늦습니다.
ㅇ 필리핀 국내에서는 보통 휴대폰을 사용합니다. 보통 전화기를 사서 Sim에 일정 금액을 충전(load)하면, 그 금액만큼 사용합니다.
ㅇ 한국으로의 국제전화는 00+82+2(서울)+한국전화번호로 하면 됩니다.
ㅇ 공중전화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기본정보
베트남(Vietnam)
■ 국명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 수도 : 하노이
■ 위치 : 인도차이나 반도 중부에 위치하며,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와 접경
■ 면적 : 33만 341평방 킬로미터(한반도의 약 1.5배)
■ 기후 : 북부는 아열대성, 남부는 열대몬순(연평균 기온 24.1도, 습도 월평균 83%, 연평균 강우량은 한국의 약 2.4배)
■ 민족 : 베트남족 89%, 기타 53개 소수민족, 화교 약 100만 명 -> 베트남족 87% 기타 54개 소수민족. 화교 약 100만 명
■ 언어 : 베트남어(공용어)
■ 화폐단위: 베트남 동 (VND, 1달러 약 21.890 VND)
■ 시차 : 한국보다 2시간 늦음(한국시간 저녁 9시 대비 현지시간 저녁 7시)
대사관 연락처
- 주소 : SQ4, Do Nhuan, Khu Ngaoi Giao Doan, Xuan Tao, Bac Tu Liem, Hanoi, Vietnam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84) 24-3771-0404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84) 90-402-6126
- E-mail : korembviet@mofa.go.kr
호치민총영사관 연락처
- 주소 : 107 Nguyen Du St., Dist 1, Ho Chi Minh city, VietNam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84) 28-3822-5757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84) 93-850-0238
- E-mail : hcm02@mofa.go.kr
주재국 신고
■ 범죄신고 : 113
■ 화재신고 : 114
■ 응급환자(앰뷸런스) : 115
■ 하노이 이민국 : 04) 3934-5609
■ 하노이 경찰서 : 04) 3942-4244
■ Korea Clinic : 04) 3843-7231, 04) 3734-6837
■ 베트남-한국 치과 : 04) 3794-0471
■ SOS International 병원 : 04) 3934-0555(응급실), 04) 3934-0666(일반진료상담)
■ 베트남 국제병원(프랑스 병원) : 04) 3577-1100
■ Family Medical Practice : 04) 3726-5222 (한국인 간호사 및 통역원 상주)
의료기관 연락처
■ 베트남 내에서 응급환자가 생겼을 경우, 115번으로 전화하여 구급차를 부를 수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115번 전화 안내원이 베트남어 구사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외국인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 하노이에는 KOICA에서 운영하는 Korea Clinic이 있는데 한국에서 공중보건의가 파견되어 있으며 해당 분야에 대한 간단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베트남인이 운영하지만 한국어 통역이 제공되는 베트남-한국 병원과 한국인이 운영하는 베트남-한국 치과가 있으며, 베트남-한국 병원의 경우 간단한 야간 응급시스템도 갖추고 있습니다.
■ 베트남 현지 병원의 경우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며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나더라도 질병 관련 용어를 영어로 의사소통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진료비(전문의 상담 기준 10만동(약 6.5US$) 내외)는 저렴한 편이지만 신용카드 결제가 어렵고 또한 진료 대기자가 많아 먼저 진료를 받기 위해 간호사나 의사에게 뒷돈을 건네기도 합니다.
■ 비교적 높은 의료수준을 갖추고 있으면서 영어가 가능한 병원은 프랑스 병원(영어, 불어)과 SOS International 병원(영어, 일어 등 기타 언어)이 대표적입니다. 프랑스 병원의 주간 전문의 상담은 70US$ 정도이고 응급실 전문의 상담은 90US$ 정도입니다. SOS International 병원의 경우 병원이라기보다는 응급실로 보는 것이 더 적당한데, 기본적인 의료장비는 거의 갖추고 있으나 장기간 입원을 하여야 할 경우는 각 질병마다 전문으로 하는 현지 병원(프랑스 병원 포함)을 연결해 줍니다. 기본적인 전문의 상담의 경우 100US$ 내외입니다. 이 두 병원의 경우 병원비는 현지 병원에 비해 매우 비싸고 한국 병원과 비교하더라도 싼값은 아니며, 병원비를 달러로 계산하거나 신용 카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 베트남 내 일부 약품(감기약, 지사제 등)은 처방전이 없어도 구입이 가능하나 전문적인 치료약의 경우에는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입이 가능합니다. 몸이 아플 경우, 말이 잘 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약국 약사의 조언만으로 약을 복용하는 것보다 가능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받아 약을 구입ㆍ복용하는 것이 타국에서의 2차 질병을 예방하는 길이라 생각됩니다.
■ 베트남 내 신종플루 감염 환자는 2010. 2월 현재 11,186명(사망 58명)으로, 베트남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숫자나 외국을 방문하는 베트남인의 숫자가 그리 많지 않은 점에 비교해 볼 때 신종플루의 감염속도는 비교적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반적인 의료체계가 미비하고 의료 수준이 낮은 편이므로 상당한 주의를 요합니다.
교통
오토바이 대여 후 운전하다가 맞은편 차량과 충돌 사고
■ 오토바이 면허 없이 오토바이 대여 후 운전하다가 운전미숙으로 맞은편 차량과 충돌하여 사망하는 사건 발생
하노이 시내 횡단보도 사고
■ 하노이 시내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신호를 위반한 차량에 사고를 당해 중상을 당하는 사건 발생
대중교통
■ 베트남의 철도는 단선 협궤이며 시설이 노후되어 평균 시속이 40-50km 정도에 불과합니다(하노이에서 호치민 간 철도 이용 시 34시간 소요).
■ 하노이ㆍ호치민시 등의 대도시에는 시내버스가 있으며, 최근 정책적으로 대중교통을 지원하고 있어 시내버스 노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아직은 여러 가지가 열악한 상태여서 외국인들은 거의 이용을 않고 있는 실정이며, 주요 도시나 지방을 연결하는 시외버스는 대부분 좌석이 적고 버스에 가축ㆍ야채ㆍ오토바이ㆍ자전거 등을 적재하기 때문에 매우 혼잡합니다.
■ 택시의 기본요금은 약 9,000∼15,000VND까지 있으며, 택시회사마다 요금 체계가 달라 회사별로 요금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 하노이에는 20여 개의 택시회사가 영업 중이며, 시내에서 공항까지는 약 20US$ 정도입니다.
도로교통
■ 불과 몇 년 전에는 주로 관공서ㆍ외국공관ㆍ외교관ㆍ외국 기업의 차량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부를 축적한 개인 소유 차량이 급증하고 있어 도로교통의 혼잡도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 오토바이는 현지인들이 특히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하노이ㆍ호치민 대도시에는 차량이나 자전거보다 숫자가 많으며, 최근 저렴한 중국산 오토바이의 대량 공급으로 도로가 오토바이로 매우 혼잡하며 또한 매연이 심합니다. 뿐만 아니라 교통질서의식이 희박하여 외국인이 차량이나 오토바이를 직접 운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실정이며 현지인들의 경우 오토바이 택시(일명 쎄옴)가 성행하고 있으나 외국인에게는 바가지요금을 씌우는 경우가 많아 주의를 요합니다.
관련 사건사고 발생시 대처방법
■ 교통사고 발생시 경찰에 신고 및 재외공관 긴급연락처로 연락
■ 중상인 경우 인근 종합병원으로 이송
- 중상인 경우 앰블런스를 불러 인근 종합병원으로 긴급 이송, 치료
주요 교통 법규 및 문화
■ 베트남의 경우 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처리 및 응급이송 체계가 열악하고 언어 소통이 어려우므로 운전을 자제하는 것이 좋음
■ 국제운전면허증은 인정이 되나 현장 교통경찰관들은 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으니 현지 면허증으로 전환하는 것이 불필요한 언쟁을 줄일 수 있음
■ 길거리에서 경적소리를 많이 듣게 되는데 이는 뒤에 있는 차량이 앞에 있는 차량을 추월할 때 경적을 울리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임
기타 유의사항
■ 대부분의 도로에 중앙분리대가 없어 중앙선을 침범하는 차량이 많으니 운전시 각별히 유의
■ 우리 국민 주요 관광지인 사파의 경우 산악지역으로 폭우시 산사태 및 겨울철 미끄러짐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안전에 유의
날씨
날씨
■ 베트남의 북부지역(하노이 주변) 기후는 아열대성 기후이며 남부지역(호치민 주변)은 열대성 기후입니다. 평균기온은 24.1℃(하노이 등 북부지역 : 23.2℃, 다낭 등 중부지역 : 24.1℃, 호치민 등 남부지역 : 27.1℃)이며, 습도는 평균 83%이고, 평균 강수량은 2,151mm로 한국보다 2.4배 높습니다.
■ 하노이는 춘하추동이 비교적 뚜렷하며, 겨울(12∼2월)에는 10∼16℃, 여름(4월∼10월)에는 37∼40℃에까지 이르며, 특히 습도가 높아 체감 온도는 훨씬 높게 느껴집니다.
현지문화 및 유용한 정보
일반 문화
[미팅]
ㅇ 미팅은 매우 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ㅇ 약속시간에 앞서 단지 1주일 전에 Confirm을 줌에 따라, 신청자가 그때까지 다른 일정을 잡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ㅇ 미팅 1~2일 전에 재확인하고, 파트너와 접촉하여 참석자 명단 및 직위 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ㅇ 거래 상담을 위한 회의는 보통 자기 사무실에서 편안한 분위기 아래 진행하기를 희망합니다.
ㅇ 면담 장소에서는 간단한 악수 및 인사말 후에 Host 측이 환영 인사하고, 이어 방문자 측이 답사하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베트남 인사 이름 부르기]
ㅇ 직함과 함께 부를 때는 <직함 + full name : Chairman Pham Van Khai> 와 같아 부르도록 합니다.
ㅇ 직함이 없을 때는 Deputy, Vice, Assistant 등 직함은 상위자가 같이 없을 때는 생략하여 높여 불러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 Deputy Director Khai를 Director Khai
ㅇ 이 같은 방식으로 첫 미팅시 베트남인을 부를 때 조기 관계가 형성됩니다.
[이름 표기 방식]
ㅇ 우리와 같이 성과 이름 삼 음절로 성-중간 이름-끝 이름으로 구성되는데 한국과 달리 끝 이름만으로 부릅니다.
ㅇ 베트남 이름의 경우 가운데 이름만으로 성별을 알 수 있는데, Vn(반)은 남자 이름에, Thi(티)는 여자 이름에 보통 사용합니다.
ㅇ 남부 지방 사람들(특히 여자들)은 Nguyn Thi Minh Khai(응우엔 티 ald 카이), Tron Thi Hoa L(쩐 티 화 레) 등과 같이 4자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Minh(미잉)자나 Hoa(화)자는 이름을 더 예쁘게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첫 만남]
ㅇ 베트남에서 첫 비즈니스 접촉은 전통적으로 대부분 소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관례입니다.
ㅇ 최근에는 인터넷, 무역박람회, 카탈로그, 브로슈어, 광고 및 이메일, 전화 등을 통해 직적 접촉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비즈니스 관계 형성]
ㅇ 비즈니스 관계는 개인적 친분관계로 개인생활을 공유할수록 더욱 긴밀해질 수 있습니다.
ㅇ 비즈니스 이외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개인적 관계가 사업 결정을 좌우하는 요인이 됩니다.
[선임자 체면 세워주기 및 명함 수수]
ㅇ 지위 선임자에 대해 체면을 세워주고 적절한 존경을 표시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ㅇ 선임자에 우대적 표시는 정부기관, 국영기업 접촉시 더욱 중요합니다.
ㅇ 첫 면담시 선임자에게 더 좋은 선물 제공하도록 합니다.
ㅇ Host 측에서 좌석을 선임자 순으로 배치하도록 합니다.
[첫 면담시 베트남 측에 조언을 구하는 것이 필요]
ㅇ Mr.+이름 또는 Mrs+이름 대신에 Chairman+full name, Director+o, Manager+o 등 직함과 함께 불러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ㅇ 명함은 선임자 순으로 모든 참석자들에게 제공하고, 명함을 주거나 받을 때 양손으로 잡고 손을 뻗어 주는 것이 예의입니다.
ㅇ 받은 명함은 주의 깊게 읽는 표정을 통해 존경을 표시하도록 합니다.
ㅇ 받은 명함을 호주머니에 쑤셔 넣는 행위는 금물이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ㅇ 대규모 대표단의 경우 우선 선임자만 교환하고, 여타 참석자들은 면담 후에 교환하도록 합니다.
[오만찬시]
ㅇ 베트남 초청자 측이 오만찬을 대접할 경우 반드시 감사의 표시로 리턴 초대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ㅇ Host 측의 건배 제의를 시작으로 상호 건배를 제안합니다.
ㅇ Host 측이 건배를 제의할 때는 최고 선임자나 연장자를 보고 일어나서 양손으로 술잔을 들며 간단한 덕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ㅇ 헤어질 때는 모든 베트남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감사를 표시하도록 합니다.
종교 관련
ㅇ 지방정부 소속 종교위원회의 사전 허가를 받지 않은 종교활동(종교집회 또는 노상에서의 찬송가 합창 등)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이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한 선교 또는 포교행위는 절대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발각 시 추방 등 강경 제재 조치를 받게 됩니다.
팁 문화
ㅇ 원래부터 베트남에 TIP 제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나, 최근 외국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차츰 팁을 주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호텔 및 고급 식당 등에서 일하는 종업원들은 손님으로부터 약간의 팁을 받는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호텔 포터 : 10,000VND - 20,000VND
- 침실 청소부 : 10,000VND - 20,000VND
- 레스토랑 : 음식값의 5% 이내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ㅇ 베트남은 도로가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토바이가 많아(등록 오토바이 대수는 약 3,900만 대) 비좁은 도로에 오토바이ㆍ자전거가 붐비고 교통질서의식이 부족해 매월 약 1,000여 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있으며, 사고가 발생되면 사고 원인 조사에 있어서 사고를 목격한 현지인의 도움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횡단보도 횡단시 교통사고를 조심하고 직접 운전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ㅇ 하노이 시내 관광지 및 하롱베이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과 대형 마트 등 외국인이 많이 찾는 쇼핑지역에서 여권 및 소지품(특히 휴대폰ㆍ디지털 카메라ㆍ지갑 등) 도난과 분실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든 소지품은 꼭 휴대하시고 주의 깊게 소지ㆍ관리하시기 바랍니다.
ㅇ 베트남은 매춘ㆍ마약ㆍ도박을 3대 악으로 규정하고 이들 범죄에 대해 강력하게 단속하고 있습니다. 매춘의 경우, 적발 시 외국인은 대부분 강제 출국을 당하게 되며, 특히 미성년자가 관련된 성범죄라면 외국인에게도 중형의 실형이 선고됩니다.
ㅇ 베트남 정부에서는 베트남에서 곰쓸개(웅담) 즙을 추출하여 판매하거나 구입ㆍ복용하는 행위를 엄격히 통제하고 있으며, 발각시 추방 등 강경 제재 조치를 받을 수도 있으니, 베트남 여행 시 곰쓸개 즙을 구입ㆍ복용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기타
[전력 사용 현황]
ㅇ 사용 전압은 220V이나 50Hz로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ㅇ 전기 시스템 : 220V/50Hz
[언어]
ㅇ 베트남어(공용어), 4개의 소수민족 언어를 법률상 허용합니다.
[환전]
ㅇ 베트남의 화폐단위는 베트남 동(DONG)입니다.
ㅇ 호텔, 식당, 상가 등에서 달러를 직접 사용할 수 있으나, 재래식 시장 등에서는 현지화 사용이 일반적입니다.
ㅇ US$1 = 21,100동(2013. 9월 현재) -> 21.805동 (2015년 현재)
[통신]
ㅇ 우편
- 우편물은 국내우편 및 국제우편물을 막론하고 우체국을 통해 발송되며, 우편물을 수령할 때 편지는 주소지까지 배달이 되나 소포 물인 경우 직접 우체국에 가서 수수료 지불 후 수령하여야 합니다.
※ 하노이~서울 간 우편배달 소요 일수
* 일반 국제우편 : 10~14일
* DHL : 약 2~3일 정도
* EMS(Express Mail Service) : 약 4~5일 정도
ㅇ 하노이~서울 간 우편요금
- 일반우편 : 편지(200g) US$ 2.33, 엽서 US$ 0.35, 소포(1kg) US$ 5.85
- 항공우편 : 편지(200g) US$ 4.47, 엽서(5g) US$ 0.41, 소포(1kg) US$ 8.85
ㅇ 전화
- 하노이 시내에 카드식 공중전화와 일반 공중전화가 있으나 숫자가 매우 적고, 국제전화는 호텔이나 우체국 창구에서 가능합니다. 시내 통화요금은 첫 1분간 VND 1,200이고, 분당 VND 400씩 추가됩니다. (1$=18,450VND, 2010. 3월)
ㅇ 하노이-서울 간 국제전화 요금
- 평일 직통전화 : 첫 1분간 US$ 0.715이고 매 6초당 US$ 0.0715씩 추가됩니다.
- 휴일(공휴일, 일요일) 직통전화 : 첫 1분간 US$ 0.605이고 매 6초당 US$ 0.0605씩 추가됩니다.
ㅇ 인터넷 사용 현황
- 하노이 시내에 PC방이 여러 곳 성업 중에 있으며,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통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가의 기간 인터넷망의 용량이 작아 인터넷 속도가 느린 편이며, 최근 ADSL 등 초고속 인터넷망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입니다.